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핸드폰 위약금 조회 SKT 쉽고 간단해요

핸드폰 위약금 조회 SKT 쉽고 간단해요

 

핸드폰을 구입할 때 망설여지는 부분이 바로

핸드폰의 가격인데요, 이 가격의 부담감을

줄이고자 보통 기기를 구입할 때

약정할인 제도로 많이 구입합니다.

 

 

살 때 당시에는 핸드폰 기기값의 부담을

많이 줄여주기 때문에 기분이 좋지만,

막상 핸드폰이 고장나거나,

기존에 쓰던 핸드폰이 마음에 들지 않아

다른 폰으로 교체하고 싶을 때

'약정' 이 발목을 붙잡습니다.

 


 

보통 핸드폰을 살 때 2년 약정을 많이 하는데요,

이 2년의 기간내에 약정을 깨고,

다른 핸드폰으로 교체를 하게 되면

핸드폰 위약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핸드폰 위약금은 남은 약정기간에 따라서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핸드폰을 교체하기 전에

남은 약정기간의 여부와 핸드폰 위약금 조회를

해보고 난 다음에 새로운 핸드폰 구매 결정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SKT를 사용하는 분들의 경우에는

T world 홈페이지나 모바일 Tworld 앱을 통해

쉽게 핸드폰 위약금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위약금 조회를 납부하기 위해서는

일단 T world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오른쪽 상단을 보면 my T라는 메뉴가 있는데요,

my T를 클릭하게 되면 조회탭 아래부분에

나의 가입정보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나의 가입정보를 클릭하게 되면 화면이 바뀌고

오른쪽 상단 부분에 가려진 정보보기 아이콘

있는데요, 이것을 하지 않는다면,

핸드폰 위약금 조회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인인증을 통해

가려진 정보를 볼 수 있게끔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주면

바로 밑에 요금 약정할인이라고 해서

어떤 약정할인을 받고 있는지,

얼만큼의 할인을 받았는지,

그리고 약정이 언제 끝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선택약정할인제도

핸드폰을 구매할 때 혜택을 받았는데요,

이 약정은 할인받은만큼 위약금을 물어야 해요.

그래서 위 사진의 전월 기준 할인 금액 합계에

당월 할인 금액 합계를 더한 금액이

핸드폰 위약금이 됩니다.